본문 바로가기
IT과학 미래기술

스타십(starship 스타쉽) 발사 실패 폭발원인

by 메카닠 2023. 4. 21.

스타십에 대하여

 

스타십에 관한글은 저번에 올렸으므로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2023.04.18 - [IT과학 미래기술] - 스타십(스타쉽 starship) 발사 연기 일론머스크 스페이스 X에 대하여

 

스타십(스타쉽 starship) 발사 연기 일론머스크 스페이스X에 대하여

스타십(스타쉽)이란? 일론머스크가 수장으로 있는 민간우주기업체 스페이스 X의 신형우주 로켓이며 기존 로켓과 다르게 재이용이 가능한 로켓ㆍ우주선입니다. 스펙은 슈퍼헤비 로켓(69m)과 스타

mewmew.kr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일론머스크가 창업한 스페이스 X의 로켓이며 인공위성, 대기권 내 비행, 우주에서의 유인 및 인류의 화성 이주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또한 기존 로켓과 달리 완전 재사용이 가능한 로켓으로 운용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춘 로켓이기도 합니다.

상용화된다면 탑승정원이 100명 전후가 될것이라고 하는데요 , 이 정도면 하늘을 나는 유람선이라고 해도 되지 않을까요?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 실패로 인해 상용 시기가 늦춰지게 되었는데, 실패한 원인에 대해서 분석해 보겠습니다.

 

 

스타십 발사실패

space x사는 미국 시간 20일 오전 8시(국내시간 오후 10시 30분) 최초 실험 발사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습니다.

스타십-최초 궤도비행테스트
스타십-최초 궤도비행테스트

 

 

스타십은 미국 남부 텍사스주 보카치카의 스타베이스에서 발사하여 8분 후쯤 로켓을 분리하여 멕시코 만에 추진체를 낙하시킨 뒤 지구의 궤도상에 진입해 90분여 주행 후 하와이 앞바다에 착륙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스타십은 발사 4분여 만에 공중에서 폭발하였는데, 탑재한 슈퍼헤비로켓의 분리를 실패한 후 부스터 폭발 지령(자동 자폭장치)이 내려져 폭파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분리-실패후-자폭하여-터진-스타십
분리-실패후-자폭하여-터진-스타십

자세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33개의 렙터 2 엔진 일부가 문제가 생겼던 것으로 밝혀졌는데요, 무인탐사 실험이라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일론머스크는 첫 실험 비행실패라는 고배를 마시게 되었습니다. 

 

이미 발사 전 인터뷰에서 머스크는'이번 실험으로 궤도에 도달할 확률은 절반정도 일 것'이라고 밝혔으며 실패 직후' 우선 시험 비행한 것을 축하하며 몇 달 뒤에 있을 다음번 시험이 있기 전 이번 건으로 많이 배웠다'며 밝히기도 했습니다.

 

스타십은 프로토타입으로 여러 번 실험을 걸쳤었는데요 최근 21년도 3월 30일 프로토타입 'SN11'버전은 연료 노출로 인해 폭발로 실패하였으나, 21년 5월 6일 프로토타입 'SN15'이 멋지게 테스트주행을 성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연 세계최초로 행성 간 이동하는 유인탐사선의 길을 개척할지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 스페이스 X입니다.

 

 

2023.04.07 - [IT과학 미래기술] - 스타링크(Star link)란? 장단점 이용방법 등 소개

 

스타링크(Star link)란? 장단점 이용방법 등 소개

스타링크란? 스타링크는 우주벤처, 미국 민간기업 스페이스 X사(CEO 일론머스크)에서 제공하고 있는 인공위성 통신 서비스입니다. 저궤도 위성을 이용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장

mewmew.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