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FOMC 3월 회의록 공개 연준(FED)의 금리행방은?

by 메카닠 2023. 4. 17.

FOMC 회의록 중요 내용

우선 연준 의원들은 만장일치로 금리인상에 찬성하는 표를 던졌는데요, 이유를 천천히 알아보겠습니다.

 

연준에서는 실리콘밸리 파산등 금융위기에 대하여 파산한 것에 대해선 유감이지만 미국은행 시스템은 매우 건실하며 회복능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실리콘밸리건은 미은행권에 경미한 수준의 영향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경기에 대해서도 생산이 아주 잘 이뤄지고 있고, 경제가 탄탄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말은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해도 여력이 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좌-CPI지수 우-근원CPI 출처:tradingeconomics좌-CPI지수 우-근원CPI 출처:tradingeconomics
좌-CPI지수 우-근원CPI 출처:tradingeconomics

물가(CPI)가 잡히고 있으나 중요한 근원물가(Core cpi)가 잡히지 않고 연준이 목표하는 2%에는 멀었으며, 완화가 되고 있지만 현재 여전히 용인할 수 없을 만큼의 인플레이션 상태라고 보고 있습니다.

 

연준의 목표는 24~25년 사이 목표물가인 2%로 만드는 것이며, 이 뜻은 연내에는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며 강한 긴축스탠스를 유지한다는 의지가 분명했습니다.

 

더 나아가 일부 연준 의원들은 인플레지수가 아직도 너무 높으며, 경제적 데이터도 강한 것으로 판단해 빅스텝(0.5% 금리인상)을 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이번 은행권 사태로 인해 베이비스텝(0.25%)으로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금리의 유무는 크게 3대 지표 물가안정, 경기안정, 금융안정을 보고 판단하게 됩니다.

 

우선 물가 쪽을 보면 CPI지수가 하락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는 에너지의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보이며 근원물가는 전혀 잡히지 않고 있으므로 아직 인플레는 안 잡혔다고 판단을 내린 거 같습니다.

 

마이너스의 기여도-에너지물가 출처:tradingeconomics
마이너스의 기여도-에너지물가 출처:tradingeconomics

 

경기 쪽은 우선 미국 기준으로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1.0% > 1.4% > 1.6% 순으로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미국경제는 아직 튼튼하다는 뜻이며 실업률 지표도 3.5%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완전고용인 수준이므로 경기는 아직 우량하다고 판단을 한 거 같습니다.

 

금융 쪽은 실리콘은행 사태 이후 예치금이 은행권에서 빠져나가는 상황입니다. 은행권에 돈을 두면 불안하다는 심리가 작용해 뱅크런이 일어나고 있는 거죠.

 

비대면 업무에 익숙해진 미국 상업용 부동산의 공실률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규제 또한 강화되었는데요 규제가 강화되면 기업은 사업확장, 신규프로젝트, 신규고용, 임금, 해고 등 회사에 대한 투자가 위축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소비도 위축되게 되며 경기 침체로 이어지게 되는데, 연준은 긴축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며 이는 어느 정도 경기침체를 용인하고 유인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직 여러 지표에선 경기가 탄탄하다는 증거가 보이는 만큼 금리를 올려도 충분히 버틸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죠

 

시장의 판단도 FOMC회의 후 베이비스텝 예상으로 많이 기울어진 상태이지만 한번 금리 인상후 동결한 뒤 연내로 금리 인하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시간-기준-베이비스텝-우세 출처:fedwatch
현시간-기준-베이비스텝-우세 출처:fedwatch

 

하지만 연준과 IMF의 판단은 24~25년쯤 목표물가인 2%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설령 2%에 근접하더라도 당장 금리 인하는 안 할 것으로 보입니다.

 

베이비스텝 후 금리 동결을 한 뒤 빠르면 24년 늦어도 25년쯤에 서서히 금리 인하를 시행할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해 봅니다.

 

 

2023.04.15 - [경제] - 미국 3월 CPI(소비자물가지수)발표 금리 전망 분석

 

미국 3월 CPI(소비자물가지수)발표 금리 전망 분석

미국 CPI 지수발표 미국 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지수)는 22년 6월 9.1%로 정점을 기록한 뒤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이번 3월 CPI는 전월 6.0%에서 큰 폭으로 떨어진 5.0%를 기록했습

mewmew.kr

2023.04.11 - [경제] - 한국은행(한은) 기준금리 동결 금리 인하의 시작?

 

한국은행(한은) 기준금리 동결 금리 인하의 시작?

기준금리 동결 이번 4월 11일 날 열린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한국은행 금융통화의원회는 기준금리를 현 3.5%로 동결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지난 2월 23일 발표한 회의에서도 금리를 동결

mewmew.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