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과학 미래기술/자연과학

배롱나무 와 꽃에 대해서

by 메카닠 2023. 7. 17.

배롱나무

배롱나무(학명:Lagerstroemia indica L.)는 중국이 원산지인 나무로 한국, 일본에서도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 나무다.

 

길이는 3~7m로 자라나며 온난한 지역에서 잘자라며, 햇볕이 많이 들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이 좋다.

 

건조한 환경을 잘 버티지만 , 추위에 많이 약해 우리나라 같은 경우 비교적 온화한 남부지방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꽃이 아름다운 배롱나무
꽃이 아름다운 배롱나무

꽃이 아름다워 도로변, 공원, 주택가, 가로수에 조경으로 많이 심어진다.

 

나무질이 견고하고 오염력과 내충성이 높아 가구나 건축재료로도 많이 사용된다.

 

재밌는 점은 나무에 외부자극을 가 할 경우 간지럼을 타듯이 나무가 흔들려 간지럼나무라고도 불린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배롱나무 꽃

꽃은 보통 7~9월 이르면 6월에 개화하며 흰색, 붉은색, 보라색, 분홍색등 다양하고 아름다운 꽃을 피워낸다.

 

대표적인 특징으로 100일 전후로 길게 개화하는 특징 때문에 백일홍(百日紅) 혹은 목백일홍(木百日紅)이라 불린다.

 

꽃향기는 매우 진하고 은은하며 밤이 되면 더욱더 진해진다.

백일 동안 개화하여 백일홍이라고도 불린다.
백일동안 개화하여 백일홍이라고도 불린다.

배롱나무의 꽃말은  대표적으로 부귀란 뜻이 있으며 헤어진 벗에게 보내는 마음, 행복, 수다스러움, 웅변, 꿈 등 여러 꽃말이 존재한다.

 

배롱나무의 잎과 꽃 뿌리는 약용으로 쓰이는데 산후 혈붕(자궁출혈),혈격징가(피가 몸 안에 어느한곳에 머물러 체증이 뭉치는 상태), 붕증(요붕증) , 이질, 치통 등 치료에 쓰인다.

 

또한 꽃잎을 말려 차로마시거나, 술에 담가 배롱 주로 먹기도 한다.

 

천연기념물 배롱나무

부산 양정구에 위치한 배롱나무는 1965년 4월 1일 천연기념물 168호로 지정되었으며, 수명은 자그마치 800년으로 추정된다.

800년의 역사를 가진 양정 배롱나무
800년의 역사를 가진 양정 배롱나무

6그루의 나무가 한데 모여 자라고 있으며 높이는 약 8.3m 정도로 양정동에 갈 일이 생기면 한 번씩 보는 것을 추천한다.

 

 

2023.06.02 - [IT과학 미래기술/자연과학] - 등수국 특징 바위수국과 차이점

 

등수국 특징 바위수국과 차이점

등수국에 대하여 등수국(학명: Hydrangea petiolaris)은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대한민국, 일본, 사할린 등에 서식하는 덩굴성 나무다.넌출수국이라고도 불린다. 길이가 최대 15~20m까지 자랄만큼 긴 편

mewmew.kr

2023.06.13 - [IT과학 미래기술/자연과학] - 무당벌레 유충 먹이 퇴치법

 

무당벌레 유충 먹이 퇴치법

무당벌레란? 무당벌레(학명:Coccinellidae)는 'Lady Burgs'라고도 불리며 화려한 색상과 둥근 모양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친근한 곤충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으며 대략 5,000종이 있

mewmew.kr

 

댓글